농협경제연구소 보고서
지난해 5월 기준 211만명 중 65세 이상 비중 57.6% 달해
40세 미만은 고작 3만여명 비조합원 청년, 출자금 부담
청년농 농산물 판로 확대 장려금 지급 등 혜택 필요
맞춤형 금융 지원도 절실
농가인구가 빠르게 고령화되면서 농협의 지속가능성에도 빨간불이 켜진 지 오래다. 조합원수 자체도 감소하는 데다 청년층 유입이 줄어들고 있어 농협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려면 청년조합원 유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늙어가는 농협=2020년 5월 기준 전체 조합원 211만명 가운데 40세 미만 청년조합원은 3만1000명 수준으로 1.5%에 불과하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조합원은 122만명으로 전체 조합원의 57.6%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인구가 다수인 가운데 적은 수의 청년들이 힘겹게 떠받치는 극단적인 역(逆)피라미드 구조다.
전문가들은 농협이 청년농 육성뿐 아니라 청년조합원의 진입·정착을 촉진하는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진단한다.
안상돈 농협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상의 40세 미만 청년농은 약 3만9000명으로 청년조합원 숫자(3만1000명)와 비교하면 8000명 정도가 조합원으로 가입하지 않거나 가입을 고려하고 있는 잠재 조합원으로 보인다”면서 “정부와 농협이 청년농 육성에 발 벗고 나섰지만 한발 더 나아가 이들이 조합원으로 유입되지 않으면 농협의 존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농협의 청년농 육성과 더불어 조합원으로의 유입 전략 수립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박한 상황”이라고 했다.
◆청년농이 바라본 농협은=일부 청년농이 조합원 가입을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농협경제연구소가 최근
조합원 가입 때 느끼는 가장 큰 진입장벽은 세대간 소통문제가 많았다. 청년들은 ‘청년조합원을 담당할 전담인력 부재(16.2%)’ ‘조합원간 세대 차이(15.5%)’ 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다만 진입장벽만 낮아진다면 청년조합원 가입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희망적인 대목도 있다.
비조합원 청년농에게 조합원 가입의향을 조사한 결과 87%가 가입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조합원 유입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협 경제사업 이용 제고를 통한 혜택 부여(24.6%)’ ‘청년조합원 조직화 및 의견수렴 확대(19.9%)’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봤다.
◆청년조합원 유입을 활성화하려면=청년농을 위한 보다 세밀한 지원과 육성사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보고서는 청년조합원 유입을 늘리려면 농협의 최대 강점 중 하나인 하나로마트·농협몰 등 판매장을 활용해 청년농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를 확대해야 한다고 봤다. 청년농이 영농기술 습득과 생산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동시에 농협 경제사업 이용 제고가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약정조합원제도(경제사업에 대해 이용계약을 체결하고 이를 성실히 이행한 조합원에 대해 사업 이용과 배당 등을 우대하는 제도)를 활용해 청년농에게 농자재 구입편의 제공, 수수료 인하, 이용고 배당, 장려금 지급 같은 우대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납입출자금 문턱을 낮추는 등 조합원 가입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고, 청년농 성장단계별 자금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농협 금융사업의 장점을 살려 맞춤형 금융 지원을 확대하는 동시에 청년농을 위한 다양한 금융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청년조합원을 위한 전담조직 운영 ▲농협형 청년조합원 교육프로그램 구축 등도 주문했다.
박미옥 농협경제연구소 협동조합연구팀장은 “청년농 육성과 조합원 유입 활성화 전략은 서로 연계돼 진행해야 시너지가 발휘될 것”이라며 “향후 농협의 구체적인 전략을 담은 보고서를 출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함규원 기자 one@nongmin.com
ⓒ 농민신문 & nongmi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